본문 바로가기
728x90

언리얼엔진/블루프린트38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 저번 2D와 다르게 3D 애니메이션을 이용할 것입니다. 2D와는 다르게 너무 많은 애니메이션들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브라우저->마우스 우클릭->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 를 추가해줍니다. 내가 만약 에셋을 구매해서 프로젝트에 추가했다면 보통 이런 여러가지 선택 할 수 있는것들이 나오는데 Skeleton 을 선택해서 진행하겠습니다. 생성된 후 더블클릭해서 창을열고 우측 에셋브라우저에서 원하는 애니메이션을 끌고와 최종 애니메이션 포즈랑 노드를 연결 해주면 이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의 최종 포즈는 Jog_Fwd가 됩니다. 이걸 사용하려면 원하는 캐릭터 클래스에 들어가 컴포넌트-메시-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모드 : Use Animation Bluprint 애니메이션 클래스 : 방금 만든 애니메이션.. 2023. 3. 27.
PlayerControlloer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캐릭터 클래스에서 직접 캐릭터가 움직이고 회전하는걸 넣어줘도 되지만 이렇게 플레이어 컨트롤러 클래스를 생성해서 지정한다음 플레이어 컨트롤러 클래스 이벤트 그래프에서 캐릭터 클래스에 있는것을 플레이어 콘트롤러로 옴겨올때 이렇게 옮겨 올 수 있다. 2023. 3. 27.
캐릭터 회전 컨텐츠 브라우저 ->마우스 우클릭->블루프린트클래스->캐릭터 생성 부분과 매핑부분은 다른게시글에 있으니 패스하도록 하겠습니다. 회전에는 3가지요소가 있는데 Pitch, Roll, Yaw인데 Pitch, Roll, Yaw는 3차원 공간에서 물체의 회전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Pitch는 물체가 X축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X축 주위로 물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비행기에서는 비행기의 머리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Roll은 물체가 Y축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Y축 주위로 물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비행기에서는 비행기의 날개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Yaw는 물체가 Z축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Z축 주위로 물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비행.. 2023. 3. 25.
FSM 기반 AI FSM은 유한 상태 기계(Finite State Machine)의 약어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추상적인 모델링 도구입니다. FSM은 현재 상태를 유한한 개수의 상태 중 하나로 나타내고, 입력 신호에 따라 상태를 변화시키며 출력 신호를 발생시킵니다. FSM은 상태 전이도(state transition diagram)를 사용하여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상태 전이도는 상태를 노드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에지로 나타내며, 상태 전이를 표현하는데 유용합니다. 또한, FSM은 상태 전이 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습니다. 상태 전이 표는 입력 신호와 현재 상태에 대한 출력 신호와 다음 상태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각 상태에서 어떤 입력 신호가 들어왔을 때 어떤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고 다.. 2023. 3. 21.
블루프린트 체력게이지 콘텐츠 브라우저->마우스 우클릭->유저인터페이스->위젯 블루프린트 라는 것이 있다. 생성 하면 위젯 선택창이 나오는데 UserWidget 을 선택하자 그후 더블클릭해서 우측상단 FillScreen 을 Custom으로 바꿔주자 그 다음에 길이와 높이를 설정해주고 우측 Palette에서 프로그래스 바를 선택해서 끌고와보자 그러면 이렇게 디테일을 설정할수 있는 바가 생성된다. 여기서 색, 이름 등 원하는 설정을 하고 원하는 클래스의 컴포넌트 텝에서 위젯을 추가해준다 그리고 우측 디테일->위젯클래스->아까 설정한 위젯 블루프린트를 선택한다. 생성이 됬으면 디테일에서 원하는 사이즈 및 위치로 수정해준다. 블루프린트로 돌아와서 해당 위젯을 끌어와 준뒤 이런식으로 연결해서 Percent를 이용해서 게이지를 조정해주면.. 2023. 3. 21.
블루프린트 DataTable 컨텐츠 브라우저- 마우스 우클릭- 기타 - 데이터 테이블 로 가면 생성된다. 이런 행구조 선택을 하면되는데 사전에 구조체나 데이터를 생성해놓으면 그걸로 설정하면 된다. 나는 이런식으로 구조체를 만들어 놨고 데이터 테이블에 들어가서 추가를하면 행이 하나 추가되는데 그걸 클릭해서 이런식으로 플립북을 지정해준다 그리고 블루프린트에서 Get Data Table Row Non이라는 노드를 가져와서 사용한다. 이렇게 원하는 클래스(이 이미지에선 Knight)에 원하는 행을 Data 라는 아까만든 구조체에 셋팅시켜준다. 그 후 이렇게 set Data 를 가져와 핀분할을 해준뒤 애니메이션을 연결해주는데 이것을 당연히 하나의 구조체가 아닌 부모구조체를 만들고 여러개의 자식클래스가 생길때 해주면 관리 하기 편한다. 2023. 3. 21.
728x90